심박수(Heart Rate) & 심박수 영역 훈련(Heart Rate Zone)

2025-07-13
6

러닝 심박수 존 정리

🏃‍♀️ 시사점
이 글에서는 심박수 계산법과 심박수 영역 훈련을 정리해보았다.

심박수 기본 개념

최대 심박수 (Maximum Heart Rate, MHR)

심장이 1분 동안 뛸 수 있는 최대 횟수이다.

최대 심박수 공식의 유의점:
이 공식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뿐, 개인의 최대 심박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.
실제 최대 심박수는 개인의 체력 수준, 유전적 요인,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

최대 심박수 계산 공식:

  • Gellish Method: 207 - (0.7 × age)

예시: 30세 남성의 경우

  • MHR = 207 - (0.7 × 30) = 207 - 21 = 186 BPM

휴식 심박수 (Resting Heart Rate, RHR)

완전히 휴식 상태에서 측정한 심박수이다. 체력 수준과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.

휴식 심박수 기준:

  • 우수: 60 BPM 이하
  • 양호: 60-80 BPM
  • 주의: 80-100 BPM
  • 높음: 100 BPM 이상

측정 방법:

  • 아침에 일어나서 바로 측정
  • 5분 이상 안정 후 측정

웨어러블 기기가 없을시 검지와 중지를 손목 안쪽이나 목쪽에 대어 측정이 가능하다, 스톱워치 1분을 맞춰두고 맥박수만 세어주면 되는 간단한 방식이다.

심박수 예비력 (Heart Rate Reserve, HRR)

최대 심박수에서 휴식 심박수를 뺀 값이다. 실제 훈련 강도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.

HRR 계산: 최대 심박수 - 휴식 심박수

예시: 최대 심박수 186, 휴식 심박수 60인 경우

  • HRR = 186 - 60 = 126 BPM

심박수 영역 (Heart Rate Zones)

우리는 최소 심박수와 최대심박수를 가지고 있다. 그리고 최소, 최대 심박수 사이에 심박수 영역이 있고 영역에 따른 훈련 강도 및 훈련 이점이 있다.
심박수 영역은 특히 달리기에서 운동 강도를 설정할 때 큰 도움이 되는데, 보통 5개의 영역이 있다.
아래는 5개별 심박수 영역과 그 특징, 훈련 예시이다.

Zone심박수 범위목적특징훈련 예시
Zone 1최대 심박수의
50-60%
회복, 워밍업, 쿨다운• 매우 가벼운 강도
• 대화 자유롭게 가능
• 지방 연소 효율 높음
• 근육 회복 촉진
• 가벼운 조깅
• 가벼운 걷기
• 회복 러닝
Zone 2최대 심박수의
60-70%
기초 체력 구축, 지구력 향상
체지방 연소
• 대화 가능한 페이스
• 지방을 주요 연료로 사용
• 심폐지구력 향상
• 근육의 산소 이용 효율 증가
• LSD 훈련
• 이지 러닝
• 기초 체력 훈련
Zone 3최대 심박수의
70-80%
임계점 향상, 페이스 감각 훈련• 대화 어려운 강도
• 젖산 임계점 근처
• 지구력과 속도 균형
• 레이스 페이스 훈련
• 템포 러닝
• 임계점 훈련
• 페이스 러닝
Zone 4최대 심박수의
80-90%
무산소 능력 향상, 속도 훈련• 대화 불가능한 강도
• 젖산 축적 시작
• 근지구력 향상
• 최대산소섭취량(VO2max) 향상
• 인터벌 훈련
• 파틀렉
• 힐 훈련
Zone 5최대 심박수의
90-100%
최대 능력 향상, 스피드 훈련• 매우 높은 강도
• 짧은 시간만 유지 가능
• 근력과 스피드 향상
• 신경근 조화 개선
• 스프린트
• 고강도 인터벌
• 레이스 마무리 훈련

실전 예시: 28세 러너의 Zone 2 훈련

  • MHR = 207 - (0.7 × 28) = 207 - 19.6 = 187.4 ≈ 187 BPM
  • Zone 2 범위: 187 × 0.6 ~ 187 × 0.7 = 112~131 BPM
  • 훈련 시간: 30~60분
  • 훈련 방법: 대화가 가능한 페이스로 이지 러닝
  • 주의사항: 심박수가 131 BPM을 넘지 않도록 페이스 조절

마치며

핵심 포인트
이렇게 해서 최대 심박수, 안정 심박수, 여유 심박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러닝에 있어서 심박수는 본인의 컨디션을 체크하고 훈련 시 기준점이 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참고:
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8766213
https://blog.naver.com/friendship44/223478619220
https://m.blog.naver.com/bgrace/222980598649